
안녕하세요 빡쫑의 투자공부입니다.
2022년의 해가 밝으면서 모두 13월의 월급을 받기위해 기다리고 계실텐데요
오늘은 근로자들이 받을 수 있는 소득공제 항목을 정리해드리려고 합니다.

소득공제 항목
1. 근로소득공제
2. 인적공제
3. 연금보험료공제
4. 특별소득공제
5. 그 밖의 소득공제
총 5가지의 소득공제 혜택이 있습니다.

근로소득 공제의 경우 회사에서 처리해주는 부분이니 자세한 설명은 없이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인적공제
본인, 배우자, 부양가족에 대해 1명당 150만원씩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경로우대자, 장애인, 부녀자, 한부모의 경우 추가공제 혜택이 있습니다.
경로우대자 - 1명당 100만원
장애인 - 1명당 200만원
부녀자 - 1명당 50만원
한부모 - 100만원

연금보험료공제
공적연금관련법에 따른 기여금 또는 개인부담금을 한도 없이 전액 소득공제 받을 수 있는데요
하지만 근로자 본인의 부담금만 공제 가능하므로 배우자나 부양가족 명의의 불입금은 본인이 공제 불가능합니다.
특별소득공제는 총 3가지 항목이 있습니다.
보험료 공제, 주택임차차입금 및 원리금상환액 공제, 장기주택저당 차입금 이자 상환액

보험료 공제
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 노인장기요양보험료 전액을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임차차입금 및 원리금상환액 공제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인 근로자가 전세, 월세 등 임대차 계약으로
대출기관 또는 거주자로부터 차입하고 그 차입금의 원리금을 상환하는 경우
상환금액의 40%를 300만원 한도 내에서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주거전용 면적 85㎡ 이하만 가능합니다.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
무주택 또는 1주택을 보유한 세대의 세대주인 근로자가 취득당시 기준시가 5억원 이하의 주택을 살 때
저당권을 설정하고 금융회사, 주택도시기금으로부터 차입한 자금의 이장상환액에 대해 소득공제
상환기간이 10년 이상 300만원, 15년 이상 최대 1800만원까지 적용됩니다.
그 밖의 소득공제 항목은 총9가지가 있는데요

개인연금저축공제
개인연금저축계좌에 가입하여 2021년도에 납입한 금액에 대해 소득공제
2001년을 기준으로 이전 가입자는 소득공제, 이후 가입자는 세액공제 혜택을 받습니다.
2001년 이후 가입한 분들은 연 400만원 한도 내에서 납입액의 12%를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총급여 5,500만원 이하는 15%까지 받을 수 있어요!

소기업 소상공인 공제부금 소득공제
총급여액 7천만원 이하인 법인 대표자가 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하여 납부하는 금액에 대해 근로소득금액에서 공제
근로소득금액에 따라 공제한도가 다르며 최대 500만원입니다.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
총급여액 7천만원 이하이고, 과세연도 중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세대의 세대주인 근로자가
주택마련저축에 납입한 금액의 40%를 300만원 한도로 공제

벤처투자조합 출자 등 소득공제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 등에 출자, 투자하는 금액의 10%를 그 출자일 또는 투자일이 속하는
과세연도부터 출자 또는 투자 후 2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까지 거주자가 선택하는
1과세연도의 종합소득금액에서 공제
출자 또는 투자금액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하되, 종합소득금액의 50% 한도

신용카드 등 사용액 소득공제
1년동안 사용한 금액에 대해 총급여액의 25%를 초과하는 금액의 15%를 공제

우리사주조합출연금 소득공제
우리사주조합원이 우리사주를 취득하기위하여 조합에 출연하는 금액에 대해 400만원 한도로 공제
벤처기업의 경우 1,500만원까지 공제

고용유지 중소기업 근로자 소득공제
중소기업이 경영상 어려움에도 사업주와 근로자 대표간 합의에 의하여
임금을 감소하여 고용 유지하는 경우 감소된 임금의 50% 연간 1천만원 한도 내에서 공제

장기집합투자증권저축 소득공제
공제 요건을 모두 갖춘 장기집합투자증권 저축에 2015년 이전까지 가입한 경우
가입한 날부터 10년동안 납입 금액의 40%를 연 240만원 한도내에서 공제

소득세 소득공제 종합한도
종합한도 포함 소득공제에 포함되는 항목 중 합계액이 2,5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한 금액은 없는 것으로 함
하지만 대부분의 근로자는 여기에 포함될 일이 없을거에요
세액공제까지 같이 작성하려고 했지만 내용이 너무 길어져서
세액공제는 다음에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연말정산 준비 잘해서 13월의 월급 두둑히 받아봅시다!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연말정산 준비 세액공제 항목 정리 연금계좌 월세 (0) | 2022.01.22 |
---|---|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 청년 전용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비교 (0) | 2021.12.22 |
연말 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 정리 및 공제 혜택 찾는 방법 (0) | 2021.12.20 |
청년내일채움공제 조건 중도해지부터 만기까지 정리 (0) | 2021.12.14 |
틱톡 현금이벤트 참여방법 추천인코드 Z776607501 (0) | 2021.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