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빡쫑의 투자공부입니다.
저는 서울로 상경한지 어느덧 거의 3년이 다돼가는데요
첫 자취방은 월세로 지냈었는데 서울 월세는 정말 비싸더라구요..
돈을 모으기 위해서는 빨리 월세를 벗어나야겠다라는 생각을 하며
전세대출을 알아보다가 저는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일명 중기청 전세대출)을 받을 수 있어서
현재는 대출을 받아 전세로 살고 있습니다.
저와 같은 고민을 하시는 분들을 위해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과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을 소개시켜드릴게요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
중소기업청년전세대출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들을 위해 주택도시기금에서 지원하는 주거 안정 지원 복지 제도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은 연소득이 낮기때문에 주택 마련 및 보증금 마련이 어려운 현실인데요
국토교통부에서 이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중소기업 청년들을 위한
주거안정 저금리 대출 상품을 발행하였고 이것이 중소기업청년전세대출입니다.
대출대상 : 부부합산 연소득 5,000만원 이하, 외벌이 3,500만원 이하,
순자산가액 2.92억원 이하 무주택세대주(예비세대주 포함),
중소 또는 중견기업 재직자, 청년창업자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청년
대출금리 : 연 1.2%
대출한도 : 최대 1억원 이내
대출기간 : 최초 2년(4회 연장, 최장 10년 이용가능)
낮은 대출금리로 이자가 굉장히 낮기 때문에 청년들이 많은 관심을 보이는 복지정책입니다.
물론, 저도 낮은 금리로 월 고정지출을 줄이기 위해 전세대출을 받았습니다.
저는 중기청으로 8천만원을 대출받았고, 매달 이자로 약 8만원정도 지출하고 있습니다.
신청시기
잔금지급일과 등본상 전입일 중 빠른 날로부터 3개월이내 신청
계약 갱신의 경우 계약갱신일로부터 3개월이내 신청
대상주택
임차 전용면적 85제곱미터 이하 주택, 보증금 2억원 이하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전세자금이 부족한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주택도시기금에서 운영하는 복지제도
취지는 동일하지만 중소기업재직자가 아니여도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출대상 : 부부합산 연소득 5,000만원 이하(외벌이 동일),
순자산가액 2.92억원 이하 무주택세대주(예비세대주 포함),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세대주(예비 세대주 포함)
대출금리 : 연 1.5%~2.1%
대출한도 : 최대 7천만원 이내(임차보증금의 80% 이내)
대출기간 : 최초 2년(4회 연장, 최장 10년 이용가능)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대출과 비교해보면 금리는 높고, 대출한도는 더 작습니다.
소득에 따라서 금리가 달라지고, 금리우대 조건에 해당 될 경우 금리를 최대 1.0%까지 낮출 수 있습니다.
중기청과 비교하면 금리도 높고, 한도는 낮지만 소득 기준은 완화되었기때문에
소득이 3,500만원을 넘으시거나, 중소기업에 재직중이 아니시라면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을 활용해야겠죠
또 신혼 또는 다자녀 가구의 경우 6,000만원까지 적용 됩니다.
전세대출을 알아보고 있는 분들은
중소기업청년전세대출을 먼저 고려해보시고 자격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면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을 진행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연말정산 준비 세액공제 항목 정리 연금계좌 월세 (0) | 2022.01.22 |
---|---|
2022 연말정산 준비 소득공제 항목 정리 (1) | 2022.01.19 |
연말 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 정리 및 공제 혜택 찾는 방법 (0) | 2021.12.20 |
청년내일채움공제 조건 중도해지부터 만기까지 정리 (0) | 2021.12.14 |
틱톡 현금이벤트 참여방법 추천인코드 Z776607501 (0) | 2021.08.11 |